- 목차 (Content)
은행에 계좌를 개설했다면 해당 계좌에는 무작위로 계좌번호가 부여되는데요. 이때 계좌번호는 은행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식을 갖고 있으며, 금융 거래를 진행할 때 계좌를 인식하기 위한 중요한 용도로 활용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는 국민은행의 계좌번호 형식과 하이픈 위치 등의 정보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은행 계좌번호 형식
국민은행의 계좌번호는 예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14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평생계좌번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계좌번호와 같은 형식을 갖습니다.
참고로 14자리의 숫자 중 앞의 4자리 숫자는 국민은행에서 각 지점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점코드이며, 다음의 2자리 숫자는 예금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과목코드입니다.
계좌번호 하이픈 위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국민은행의 계좌번호는 14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14자리의 숫자에 총 2번의 하이픈이 들어갑니다. 이때 하이픈은 계좌번호의 6번째 숫자와 7번째 숫자 사이에 하나가 위치하며, 8번째 숫자와 9번째 숫자 사이에 하나가 위치합니다. (예: 000000-00-000000)
다만, 계좌번호에 들어가는 하이픈은 지점번호와 계좌의 종류 등의 숫자를 구분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좌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보통은 하이픈없이 계좌번호를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국민은행 계좌번호 조회하기
국민은행에 본인이 보유한 각 계좌의 계좌번호는 간단히 국민은행의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을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또한 국민은행의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까운 지점에 방문하여 계좌번호 조회를 요청하거나, 타 금융사의 모바일 앱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도 국민은행의 계좌번호를 조회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 아래의 과정은 국민은행의 모바일뱅킹인 KB스타뱅킹 앱을 통해 계좌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1. KB스타뱅킹 앱을 실행한 후 로그인합니다.
2. 화면 하단의 메뉴 중 '전체계좌'를 선택합니다.
3. 접속된 메뉴에 조회된 각 계좌의 계좌번호를 확인합니다.
댓글